2부: [선용품 산업] “K-선용품 산업, 5兆→10兆로 키우려면? — 8대 과제·해법 완전 정리”
“K-선용품 산업, 5兆→10兆로 키우려면? — 8대 과제·해법 완전 정리”
국내 선용품(Ship Stores) 시장은 1조 5천억 원대지만 업체 난립·통관 지연·ESG 대응 부족으로 정체돼 있습니다. 부산항 국제선용품유통센터·친환경선박 81척 전환 등 최신 정책과 AHP 연구를 토대로 산업 구조 재편, 공동물류, 디지털 전환, 친환경 포트폴리오 등 8대 과제와 실행전략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글머리: 왜 지금 ‘선용품’인가?
부산·울산권에 400여 개 업체가 몰려 있지만 평균 매출은 20억 미만, 과잉경쟁이 심각하죠.
반대로 친환경선박 81척 전환(투자 2,223억)·크루즈 기항 증가 등 호재도 쏟아집니다.
※핵심 질문: “그 기회를 국내 중소 공급사까지 살려 내려면 무엇부터 바꿔야 할까?”
8대 핵심 과제 & 솔루션 한눈에 보기
# | 과제 | Why | Quick Win |
1 | 영세성·과잉경쟁 | 400개 난립, 원가↑ 가격↓ | M&A 세액공제, 공동브랜드 ‘We-Busan’ |
2 | 공동물류 인프라 | 개별 창고·배송비 폭탄 | 부산항 유통센터 풀필먼트·위성 HUB |
3 | 디지털 전환 | 수기 견적·재고 오류 | RFID·B2B e-마켓플레이스 시범사업 |
4 | 세제·통관 간소화 | 영세율 증빙 지연 | e-적재허가서-VAT 자동 연동 API |
5 | 친환경·ESG 제품 | 저유황유‧바이오연료 수요 폭발 | 에코라벨·공동 구매 플랫폼 |
6 | 전문 인력 부족 | 품질·다국어 세일즈 인력난 | BPA 장학·‘해운영어 부트캠프’ |
7 | 국제 네트워크 | ISSA·IMPA 참여 저조 | 부스비 매칭, ‘Ship Chandler Day’ |
8 | 브랜드·마케팅 | 해외 바이어 인지도↓ | VR 카탈로그·SNS 로드쇼 |
① 산업 구조 재편 — ‘규모의 경제’ 만들기
국내 업체 다수가 소규모 → 수주 경쟁에서 가격 덤핑이 잦습니다. 컨소시엄·지분투자 인센티브로 최소 ‘매출 100억 + IMPA 코드 30 만 품목’급 중견사를 육성해야 합니다.

② 공동물류&클러스터
부산항 국제선용품유통센터(연면적 33,455㎡)가 있지만 냉장·픽킹 기능은 제한적입니다. Full-fillment 확대 + 인천·여수 위성센터로 물류비를 평균 15 %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③ 디지털 전환
현장 설문에서 전자상거래 수행능력이 **‘중요도 대비 전 영역 미달’**로 나타났습니다. B2B e-마켓 + RFID 재고관리를 도입하면 발주·납품 리드타임을 20 % 단축할 수 있습니다.

④ 세제·통관 간소화
영세율 적용을 위해 선(기)적 완료증명서 + 세금계산서를 따로 제출해야 하는데, 이 과정이 최대 D+14일 걸립니다. 세관·국세청 API로 **‘외항 여부 자동 판정’**과 e-적재허가서 연동을 추진하면 환급을 D+3일로 줄일 수 있습니다.

⑤ 친환경·ESG 포트폴리오
2025년 정부 예산 2,223억이 투입돼 전기·하이브리드 등 81척 선박이 친환경으로 전환됩니다. 바이오연료 additive, 무포름알데히드 세정수 등 ‘그린 선용품’ 라인업이 RFQ에서 가산점이 됩니다.

⑥ 전문 인력 양성
BPA는 2024년 1억 500만 원을 투입해 항만·물류 인력 장학금을 지원했습니다. 커리큘럼에 글로벌 소싱·친환경 연료 핸들링 과목을 추가해 ‘선용품 트랙’을 만들면 인력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습니다.

⑦ 국제 네트워크·표준화
ISSA·IMPA 정회원 비율이 낮아 국제 바이어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부스비 50 % 매칭 + ‘K-ShipStore Week’ 공동관을 운영해 네덜란드·싱가포르 바이어를 유치하세요.

⑧ 브랜드 & 마케팅
VR 쇼룸·AR 매뉴얼이 있으면 부품 복잡도 높은 기술 스토어도 클릭 한 번에 설명 가능. SNS 릴스·유튜브 쇼츠로 ‘선박에서 먹는 K-푸드 언박싱’ 콘텐츠를 발행해 크루즈 고객까지 확보하세요.
“클러스터 + 디지털 + 친환경 + 글로벌”
네 축을 동시에 돌리면 국내 선용품 시장은 1조 5천억 → 5조 원대, 나아가 동북아 ‘Ship Store Hub’로 도약할 수 있습니다.
지금이 규제·기술·수요가 동시에 변하는 골든타임이니, 작은 개선이라도 바로 실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당면 과제
우리나라 선용품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싱가포르, 로테르담과 같은 세계적인 선용품 허브 항만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지점들이 있습니다.
📌 가격 경쟁력
해외 경쟁국 대비 가격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이는 물류비용, 인건비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때로는 불필요한 행정 절차나 규제가 비용 상승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 취급 품목의 다양성 및 전문성
세계적으로 39,000여 종의 선용품이 존재하지만, 국내 업체들이 취급하는 품목은 아직 한정적입니다. 특히 고부가가치 품목이나 특수 선박용품 등 전문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역량 강화가 필요합니다.
📌 크루즈 선용품 시장 공략
크루즈선은 일반 화물선보다 훨씬 더 다양한 종류와 많은 양의 선용품을 소비합니다. 부산항을 모항으로 하는 크루즈선 유치와 연계하여 크루즈선 전용 선용품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필요가 있습니다.
‣▹▸►▻▶︎ 함께 읽어보면 좋은 포스팅 ✼✤✧
1부: [선용품 산업] 바다 위 K-Supply 체인의 숨은 강자, 지속 성장을 위한 혁신 과제
바다 위 K-Supply 체인의 숨은 강자, 지속 성장을 위한 혁신 과제부산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대한민국 선용품 산업의 현황과 중요성을 조명하고,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 과제를 심층 분석
waitjx.com
부산, 왜 해양산업 허브인가? 지리적 축복과 세계적 항만 인프라 심층 분석
부산, 왜 해양산업 허브인가? 지리적 축복과 세계적 항만 인프라 심층 분석대한민국 해양수도 부산이 왜 해양산업의 허브로 불리는지 지리적 이점과 세계적 수준의 항만 인프라를 중심으로 분
waitjx.com
부산항, 대한민국 심장을 뛰게 하는 해양 물류(컨테이너)의 70% 이상을 책임지다
부산항, 대한민국 심장을 뛰게 하는 해양 물류의 70% 이상을 책임지다"대한민국 수출입 물동량(컨테이너)의 70% 이상을 처리하는 부산항의 중요성을 심층 분석합니다. 부산항의 압도적인 통계와
waitjx.com
'부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부: [선용품 산업] 바다 위 K-Supply 체인의 숨은 강자, 지속 성장을 위한 혁신 과제 (9) | 2025.07.22 |
---|---|
부산 중심 해양수도 구축: 진정한 지방분권과 국가 균형발전의 마스터플랜 (10) | 2025.07.17 |
부산항, 대한민국 심장을 뛰게 하는 해양 물류(컨테이너)의 70% 이상을 책임지다 (10) | 2025.07.16 |
부산, 왜 해양산업 허브인가? 지리적 축복과 세계적 항만 인프라 심층 분석 (16) | 2025.07.16 |
전문가 심층 분석: 해양수산부 부산 배치, 해양국가 발전을 위한 필수불가결 선택 (12) | 2025.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