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연재 2화: 청산가치의 기본 틀, 청산대차대조표(청산재무상태표)의 구조

유안Choi 2025. 10. 11.

🔑 핵심 주제: 일반 재무상태표와의 차이점, 청산대차대조표의 구조, 구성 요소의 재분류

🔑 핵심 주제: 일반 재무상태표와의 차이점, 청산대차대조표의 구조, 구성 요소의 재분류

1. 청산가치 산정의 출발점: 청산대차대조표(Liquidation Balance Sheet)

1화에서 살펴보았듯이, 청산가치는 기업의 '계속기업 가정'이 깨졌다는 전제 하에 산정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기업회계기준(K-IFRS 등)에 따라 작성된 **재무상태표(Balance Sheet, BS)**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청산가치 산정의 기본 틀은 모든 항목을 **'청산 시점의 순실현가능가치'**로 재평가하여 작성한 **청산대차대조표(청산재무상태표)**입니다.

구분 일반 재무상태표 (BS) 청산대차대조표 (LBS)
기본 가정 계속기업 (Going Concern) 기업 해체 및 소멸 (Liquidation)
자산 평가 기준 역사적 원가, 공정가치 등 (감가상각 적용) 순실현가능가치 (급매 처분가치)
부채 분류 유동성 기준 (1년 이내/이후) 청산 시 즉시 확정되는 부채 (청산 비용 포함)
자본 분류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잔여 청산 가치 (주주 귀속분)

청산대차대조표는 기업의 실제 처분 가능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회계 장부에 기록된 장부가액이 아닌, 실사(Due Diligence) 및 감정평가를 통해 산출된 처분 예상 금액을 기준으로 작성됩니다.

2. 청산대차대조표의 구조와 계정 재분류

청산대차대조표의 가장 큰 특징은 유동성 분류가 무의미하며, 자본(Equity) 항목이 잔여 청산 가치로 대체된다는 점입니다.

2.1. 자산 (Assets): 순실현가능가치로의 전환

청산대차대조표에서 자산은 청산가치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일반 재무상태표의 자산 계정을 청산 목적으로 재분류합니다.

일반 BS 계정 청산 LBS 계정명 주요 실무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예금 등 현금성 청산 자산 장부 가액을 원칙으로 하되, 사용 제한 여부 등 실사 반영
매출채권, 미수금 회수 예상 채권 부실 가능성, 회수 기간 등을 고려하여 할인율 적용
재고자산 처분 예상 재고자산 급매 처분가를 적용하여 장부가액 대비 대폭 할인
유형자산 (토지, 건물, 기계) 감정 처분 자산 감정평가액에 법원 경매/입찰 평균 낙찰률 등을 적용한 할인가액
무형자산 (영업권, 개발비) 청산 시 소멸 자산 영업 중단 시 가치가 소멸되므로 대부분 '0' 평가
선급금, 이연법인세자산 등 회수 불능 자산 영업 활동과 관련된 선급 비용 등은 회수 불능으로 '0' 평가

2.2. 부채 (Liabilities): 청산 비용의 포함

부채 항목은 일반 BS처럼 유동/비유동으로 구분하는 대신, 청산 시점에 기업이 부담해야 할 모든 확정 부채로 재분류됩니다. 특히, 청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래의 비용현재의 부채로 인식해야 합니다.

청산 LBS 부채 항목 주요 내용 및 실무 기준
확정 부채 매입채무, 차입금, 미지급금 등 장부상 확정된 금액. 만기 구분 없이 전액 부채로 계상.
우발 부채 지급보증 등 현재는 확정되지 않았으나, 청산 시 확정될 가능성이 높은 부채는 예상 금액을 부채에 포함.
퇴직급여충당부채 모든 직원의 실제 퇴직 시점 예상 퇴직금을 부채로 확정. (장부상 충당액과 다를 수 있음)
청산 부대 비용 충당 부채 청산 과정에 필요한 예상 비용 (법률/회계 수수료, 부동산 매각 수수료, 미지급 임차료 등)을 추정하여 부채로 인식.

2.3. 자본 (Equity): 잔여 청산 가치

청산 가정에서는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의 구분이 큰 의미가 없습니다. 총자산(청산가치 기준)에서 총부채(청산 비용 포함)를 차감한 잔액이 곧 잔여 청산 가치가 되며, 이 금액이 주주에게 귀속될 최종 가치가 됩니다.

3. 청산대차대조표 작성의 실무적 중요성

청산대차대조표는 단순한 재무 보고서가 아니라, 채권자들의 권리 관계를 확정하고 회생계획의 법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평가 보고서의 성격을 가집니다.

  • 전문성 요구: 각 계정별로 법원의 실무 기준과 시장의 급매 상황을 반영하여 가치를 평가해야 하므로, 회계사, 감정평가사 등 조사위원의 전문적인 판단과 실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 할인율의 적용: 산정된 청산가치는 잔여 청산 가치를 청산이 완료되는 시점(미래)이 아닌 현재 시점의 가치로 환산해야 하므로, 적정 할인율을 적용하는 절차가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 3화에서는 청산가치 산정의 첫 단계인 유동자산현금성 자산과 매출채권의 실사 및 할인율 적용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990원 후원하기

이 글이 좋았다면,
990원으로 응원의 마음을 전해 주세요 ☕

배너를 클릭하면 카카오 송금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728x90
SMALL

댓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