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금연구역 총정리|버스정류장·횡단보도 흡연 단속 과태료까지
대한민국 금연구역 총정리|버스정류장·횡단보도 흡연 단속 과태료까지
우리나라 금연구역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실내 전면 금연구역부터 버스정류장 10m, 횡단보도 5m 같은 실외 규정까지. 위반 시 과태료 기준, 전자담배 적용 여부, 자주 묻는 질문까지 최신 기준으로 안내합니다.
대한민국 금연구역, 어디까지일까?
담배를 피우려다 표지판을 보고 당황한 적 있으신가요?
우리나라의 금연구역은 법률로 지정된 전국 공통 구역과 각 지자체 조례로 정하는 실외 금연구역으로 나뉩니다. 흡연자는 최대 10만 원 과태료, 시설 관리자는 최대 500만 원 과태료를 물 수 있으니 꼭 알아두셔야 해요.
전국 공통 금연구역 (국민건강증진법)
- 학교·유치원·어린이집(어린이집·유치원은 경계선 10m까지)
- 의료기관·보건소·공공기관·도서관·실내체육시설·PC방·만화방
- 음식점·카페 등 모든 식품접객업소 실내
- 공항·역사·터미널 대합실·승강장
- 아파트 복도·계단·엘리베이터·지하주차장(입주민 동의 시 지정 가능)
👉 이 구역에서 흡연 시 과태료 10만 원 이하.
지자체 지정 실외 금연구역 (지역별 상이)
장소 | 거리 기준 | 과태료(예시) |
버스정류소 | 표지판 기준 10m 이내 | 서울 10만 원 / 부산 5만 원 |
횡단보도 | 횡단보도와 접한 보도 5m 이내 | 부산 5만 원 |
지하철역 출구 | 출구 10m 이내 | 서울 10만 원 |
학교 출입문 | 출입문 기준 50m 이내 | 서울 자치구 10만 원 |
공원·시장·해수욕장 | 장소별 지정 | 지역별 상이 |
전자담배도 금연구역 해당?
- 궐련형 전자담배(HNB): 담배로 분류 → 당연히 금지
- 액상형 전자담배: 일부 논란 있었지만 대부분 지자체에서 단속 대상
👉 안전하게 가려면 전자담배도 흡연구역에서만 사용하세요.
현장 생활 꿀팁
- 버스정류소에서는 표지판 기준 10m 이상 떨어져 피워야 안전
- 횡단보도(특히 부산)는 보도 포함 5m 밖에서만 가능
- 꽁초 투기는 별도 과태료(보통 3만 원) → 재떨이 필수
- 금연구역 스티커·표지판이 붙어 있으면 무조건 금연
자주 묻는 질문 Q&A
Q. 길거리에서 피우는 건 괜찮나요?
A. 원칙적으로 지정되지 않은 곳은 가능하지만, 지자체 금연거리·광장 등 늘어나고 있으니 표지판 확인은 필수.
Q. 아파트 복도에서 피우면 단속되나요?
A. 해당 동 입주민 동의로 금연구역 지정 시 단속 가능.
Q. 전자담배는 단속 안 되나요?
A. 단속 대상입니다. 안전하게 흡연구역에서만 사용하세요.
🔍 정리 한 줄
- 실내 공중이용시설은 전면 금연(흡연자 과태료 10만 원)
- 버스정류소 10m, 횡단보도 5m 같은 실외 금연은 지자체별 규정(서울 10만 원, 부산 5만 원)
‣▹▸►▻▶︎ 함께 읽어보면 좋은 포스팅 ✼✤✧
2025년 9월부터 달라지는 생활 밀착형 정책 총정리
2025년 9월부터 달라지는 생활 밀착형 정책 총정리2025년 9월부터 달라지는 주요 정책 총정리! 예금자 보호 한도 상향, 혼인 세액 공제, 한부모 양육비 선지급제,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음주운
waitjx.com
200만 원짜리 컴퓨터가 느린 이유? 조립컴퓨터 샀다면 꼭 확인해야 할 7가지 체크리스트
200만 원짜리 컴퓨터가 느린 이유? 조립컴퓨터 샀다면 꼭 확인해야 할 7가지 체크리스트“조립컴퓨터를 샀는데 성능이 안 나온다고요? HDMI 케이블 위치, 모니터 주사율, BIOS RAM 설정(XMP)부터 드라
waitjx.com
안중근 의사 사형을 막으려 했던 일본인들: 우리가 몰랐던 감동 실화
안중근 의사 사형을 막으려 했던 일본인들: 우리가 몰랐던 감동 실화안중근 의사 사형 소식에 눈물을 흘렸던 일본인들이 있습니다. 뤼순 감옥 간수, 변호사, 형무소장까지, 이들이 안중근 의사
waitjx.com
'뇌피셜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뚱망뚱 표준어 맞을까? 국어사전 뜻부터 이미지로 이해하기 (17) | 2025.08.23 |
---|---|
'개연성' 비판에 대한 단상: 예술 감상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9) | 2025.08.12 |
동이족이 만든 한자, 왜 우리는 훈민정음을 만들었을까? 역사적 역설 파헤치기 (19) | 2025.07.24 |
‘심슨 예언설’ 실화냐? 유명 CEO의 공연장 장면, 심슨 장면과 일치! (13) | 2025.07.21 |
'부정선거의 원조' 이승만 정권의 ‘투표조작’ 완전 해부 – 3·15 부정선거, 김주열, 4·19 혁명 (16) | 2025.07.17 |
댓글